Product

RoSE

Robot for Surgical Endoscopic Platform
RoSE Platform
제품사진

소화기관의 조기단계 암
 내시경 수술로 완치가 가능합니다. 

조기 진단 기술 및 진단 시스템의 발달로 인해,
전세계적으로 내시경 수술의 대상 환자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 대한민국 조기 위암 증가 추이
    대한민국 조기 위암 증가 추이
  • 미국의 대장암 검진 참여율 추이
    미국의 대장암 검진 참여율 추이
  • 글로벌 내시경 수술 관련 의료기기 시장 규모 증가 추이
    글로벌 내시경 수술 관련 의료기기 시장 규모 증가 추이2019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By PMR
    글로벌 로봇 내시경 기기 시장 규모 증가 추이
    글로벌 로봇 내시경 기기 시장 규모 증가 추이2021 Robotic Endoscopy Devices Market. By 360i Research

그러나 현재의 내시경 수술은,
내시경의 구조적 한계와 높은 천공율로 인해
글로벌 임상 적용에 어려움을 가지고 있습니다.

내시경 수술 개념도
기존의 내시경 수술은.
  • 내시경의 동작 자유도가 제한적이고
  • 환부로의 접근이 용이하지 않으며
  • 오직 한 개의 스코프만으로 수술을 진행해야 하고
  • 환부 조직에 대한 트랙션이 어렵습니다.트랙션이란?
    트랙션이란?
    트랙션 없이 진행시
     점막이 밀리고 시야를 가리는 현상 
    견인도구로 점막을 들어올린 후(트랙션)
     박리 진행 
높은 수술의 난이도로 인해,극도로 숙련된 의료진이 필요하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높은 천공율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아직, 세계의 많은 환자들이
내시경 수술의 혜택을 누리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에 대한 엔도로보틱스의 솔루션을 소개합니다.

로봇팔을 장착한 상용 내시경 호환 플랫폼,

RoSE Platform

Actuation Console

Controller

  • 상용 진단 내시경에 손쉽게 탈부착 가능
  • 4자유도 로봇팔 제어
  • 주작업용 조작기는 직관적인 조작이 특징
  • 보조 조작기는 가벼운 무게와 작은 사이즈가 특징

Robot arm & Catridge

  • 4자유도 초소형 수술로봇 암 (내시경 포함D=15mm)
  • 대부분의 상용 진단 내시경에 탈부착 가능
  • 유연 케이블의 길이 세계최고 2m
  • 위, 대장, 식도, 십이지장 접근 가능

주요 적응증 적용 사례내시경 점막하 박리술 - 대표 내시경 암 수술

  • 기존 내시경 점막하 박리술
    기존 내시경 점막하 박리술
    기존 내시경 수술 상황에서는 점막이 시야를 가리는
    문제가 발생하고 점막하층과 근육층의 구분이 어려워집니다.
    이로 인해 수술시간이 길어지고, 나이프가 근육층을 관통하는
    천공이 발생될 확률이 높아집니다.
  • 로봇 내시경 점막하 박리술
    로봇 내시경 점막하 박리술
    로즈플랫폼의 다관절 겸자부를 활용하면
    점막을 로봇팔로 잡아주고 들어올리거나당기는 등의 트랙션을 확보하고
    절제부위를 넓게 주시하며 수술을 진행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박리 작업의 안전성이 개선되고 천공율이 크게 감소하게 됩니다. 
  • 길이와 유연성
  • 경로 가변성
  • 작은 사이즈
  • 호환성
  • 조작 편의성
길이와 유연성 사진
로즈플랫폼의 동력 전달 케이블은
누적각도 720도 이상의 유연성, 길이 2m 제어 기술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복잡하고 긴 곡선 형태의 소화기관에 깊이 진입하여
수술이 가능합니다.
로즈 플랫폼은 실시간 장력 제어 기술을 기반으로
수술 도중 발생하는 환자의 움직임이나 외부 환경의 변화에도
로봇의 오작동 없이 수술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작은 사이즈 사진
내시경 수술로봇은 소화기관 진입을 위해 직경 16mm 이하로 개발되어야 합니다.
RoSE Platform의 로봇 겸자부는 직경 15mm로 세계에서 가장 작은 수준의 사이즈를 보유하고 있으며, 현재 임상에서 사용중인 오버튜브를 자유롭게 통과할 수 있습니다.
호환성 사진
로즈 플랫폼은 기존의 진단 내시경 플랫폼과 높은 호환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구동부는 기존 내시경 구동부와 함께 설치 가능하고, 다자유도 로봇 겸자 및 조작부 또한 내시경에 손쉽게 장착 및 탈거가 가능합니다.
조작 편의성 사진
로즈 플랫폼의 구동부는 이미지 기반의 터치스크린으로 조작하며,
로봇 겸자부는 직관적인 조이스틱을 이용해 조작합니다.
조이스틱은 내시경에 장착되어 사용되며, 이로 인해 로즈 플랫폼의 조작을 위해
추가적인 의료진이 필요치 않습니다.

RoSE Platform

구버전 시연 영상
검색 닫기